엘리베이터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건물의 수직 동선에는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이 있습니다. 즉, 층과 층사이를 연결해 주는 수단으로 고층이 많은 현대 사회에서 꼭 필요하며, 엘리베이터는 가장 빠르고 가장 짧은 동선으로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기계장치입니다.
리프트라고도하는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여러 층 사이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이동하도록 설계된 수직 운송 장치입니다. 엘리베이터의 기본 작동 원리는 비교적 간단합니다.
엘리베이터는 도르래에 로프나 체인에 사람이나 물건을 싣는 카(Car)를 매달은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도르래는 승강기 샤프트의 상단에 장착되고 로프 또는 체인이 도르래 반대쪽에 있는 균형추에 부착됩니다.
즉, 고정도르래의 원리는 줄을 감은 바퀴의 중심축이 고정되고 바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줄을 당기는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생각보다 간단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들
엘리베이터는 생각보다 낙하에 의한 사고에 안전한 기계입니다.
1. 와이어로프 :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여러 가닥으로 구성된 로프는 기본적으로 최대 하중의 10배 이상을 버틸 수 있게 설치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두 가닥이 끊어지더라 해도 엘리베이터를 추락시키는 위험성은 상당히 낮습니다.
2. 조속기에 의한 제어 : 엘리베이터에는 정격 속도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만약 도르래가 정격 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면 과속 여부를 판단하여 1.3배 이상 속도가 증가할 경우 과속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1.4배에 도달하면 조속기 비상정지 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게 합니다.
3. 카 완충기 : 극악의 확률로 모든 안전장치에도 바닥으로 추락하게 될 경우 바닥에 설치된 완충기의 스프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됩니다.
엘리베이터는 1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15년이 지나면 정밀안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처럼 노후화된 엘리베이터의 점검을 꾸준히 해주기 때문에 사고의 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 끼임 사고나 그 외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의무적으로 손 끼임 안전장치를 설치하게 되어있고 안전기준 또한 점점 강화되고 있습니다.
'돈이 될 수 있는 잡상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아몬드와 비싸고 희귀한 돌 (0) | 2023.05.05 |
---|---|
좁은 집 넓어보이게 하는 방법은? (0) | 2023.05.04 |
중국은 왜 맥주를 차갑게 먹지 않는가? 찬물을 마시지 않는 나라 (0) | 2023.05.03 |
딸꾹질은 왜 날까? 물고기 진화론과의 연관성 (0) | 2023.05.02 |
왜 생물마다 수명이 다를까? 그 이유와 사람의 수명은? (0)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