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 될 수 있는 잡상식 이야기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품 종이 빨대가 환경을 파괴한다?

by 돈버는사람들의이야기 2023. 4. 15.

종이 빨대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

기원전 3,000년 전 처음 수메르인에 의해 만들어진 빨대에는 필터가 달려있고 재질이 금속으로 제작된 빨대로서 맥주를 마시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필터가 달린 이유는 바닥에 가라앉은 부산물들을 걸러 맥주만을 마시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였습니다.

 

또 다른 사례도 있습니다. 기원전 3,700년~ 2,900년 전 아르헨티나에서 봄 빌라(Bombilla)로 불리는 빨대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이 역시 마테차를 마시기 위한 도구로 금속 빨대에 필터 역할을 하는 체가 달려있는 형태로 차를 편하게 마시기 위한 도구입니다.

 

오늘날 사용하는 플라스틱 빨대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집니다. 많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빨대의 장점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저렴한 비용 : 무엇보다 플라스틱 빨대의 경우 생산성이 좋고 원료가 저렴하기 때문에 음료를 제공하는 기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편의성 : 플라스틱 빨대는 가벼워 휴대와 사용이 쉽습니다.

 

3. 위생 : 개별적으로 포장하거나 디스펜서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위생적입니다.

 

4. 내구성 : 플라스틱 빨대는 튼튼하고 내구성이 강하며, 쉽게 깨지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5. 다용도성 : 플라스틱 빨대는 다양한 모양, 크기 및 색상으로 제공되므로 다양한 유형의 음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양이 사용되면서 플라스틱 빨대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부각되기 시작합니다.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의 재료는 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으로 재활용이 가능해 보이지만 사실 재활용을 할 수 없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재활용품을 선별하여 재가공하는데 두께가 얇고 작기 때문에 인력을 투입하기에 많은 비용이 소모됩니다. 이 때문에 재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장기간 분해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하기도 하고 강과 바다생물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되면 미세플라스틱은 다시 인간의 식품 속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라스틱 빨대를 소각하게 되면 맹독성 물질이 대기 중에 방출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빨대의 사용을 금지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하였습니다.

종이 빨대를 개발하게 된 배경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최초로 종이 빨대가 특허를 취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초기 종이 빨대들은 마닐라 종이로 만들어져 튜브에 감겨 접착된 형태로 제작되었습니다.

 

20세기에 접어들면서 플라스틱 빨대의 환경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종이 빨대는 저점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종이 빨대는 장시간 사용 후 부러지거나 눅눅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내구성과 기능에 대한 불편함이 있습니다.

 

 

최근 일회용 플라스틱으로 나타는 문제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종이 빨대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종이 빨대는 세계 여러 지역에서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품으로 인기가 있으며, 몇몇 기업들은 친환경을 강조하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약한 내구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코팅을 하기도 합니다. 이 코팅은 일회용 종이컵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식입니다. 그 외에도 대나무, 쌀, 옥수수등의 친환경 소재들을 활용하여 빨대를 제작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하고 있습니다.

 

종이 빨대가 환경을 파괴하는 이유와 다른 대체 빨대

종이 빨대는 생분해성이며 환경에서 분해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 빨대에 비해 내구성으로 인한 불편함과 가격적인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종이를 사용하면서 종이의 향이 음료에 섞이기도 하여 호불호가 갈리기도 합니다.

플라스틱 빨대의 경우 해양생물에게 심각한 해를 끼치고 있습니다. 종이 빨대의 단점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내구성을 위한 폴리에틸렌 코팅 : 종이 빨대는 내구성이 약합니다. 이 때문에 물에 젖어 눅눅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량의 코팅을 입힐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폴리에틸렌으로 코팅을 할 경우 재활용이 불가하여 일반쓰레기로 분리배출 해야 합니다. 결국 친환경재료로서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습니다.

 

2. 비싼 가격 : 플라스틱 빨대는 10~15원 정도인 반면 종이 빨대의 경우 30~45원으로 3배가량 비쌉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재활용 불가 : 종이 빨대는 한번 사용 후 음료에 젖어 오염이 되는데 이는 종이 빨대를 재활용할 수 없게 만듭니다. 결국 일반쓰레기와 마찬가지로 매립되거나 소각됩니다.

 

4. 대기오염 : 종이 빨대는 나무로 만들어져 환경적으로 좋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탄소 배출면에서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 미시간 공과대학(MTU) 논문에서 일반폐기물 배출 시에 에너지 수요량, 지구 온난화 잠재력이 플라스틱 빨대보다 종이 빨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국(EPA)은 종이 생산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플라스틱 빨대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할 때보다 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5. 산림 파괴로 인한 기후악화 : 열대우림은 지구의 폐라고도 합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산소를 방출하여 대기를 정화시킴으로써 산림이 파괴되면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홍수나 가뭄 등 기상이변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입니다.

 

환경에 도움이 되려면 1회용 제품의 사용을 줄여야 합니다. 즉,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사용을 늘려야 합니다.

이러한 빨대들의 종류에는 스테인리스 빨대, 알루미늄 빨대, 실리콘 빨대, 유리 빨대, 대나무 빨대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환경오염에 대한 새로운 재질/기술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댓글